좋은 오이 고르는 방법

- 주산지
- 노지재배는 경기·충북, 시설재배는 경남·전남 등
- 주 출하시기
- 노지재배는 7월 ~ 10월, 시설재배는 연중출하
■ 좋은 오이의 조건
– 크기와 모양이 균일하며 처음과 끝의 굵기가 일정하고 곧은 것
– 색깔이 선명하며 시든꽃이 붙어 있고 싱싱한 것
– 육질은 단단하면서도 연하고 속씨가 적은 것
– 수분함량이 많아 시원한 맛이 강하며 병·충해과가 섞이지 아니한 것
– 과면에 침상돌기가 있으며 그 선단의 침이 손상 받지 않은 것
■ 좋지 않은 오이
–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구부러짐이 심하며 중간부분이 가늘거나 기형과인 것
– 표피에 주름이 있으며 껍질이 두껍고 억세게 보이며 씨가 많은 것
– 금이 가거나(또는 벌어진) 표면에 뿌연 가루가 생긴 것
– 과면의 침이 손상을 받아 많이 부러졌거나 없어진 것
▶ 상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통용어와 뜻
종류와 품종의 통용 | 뜻 |
---|---|
가시오이 | 가시가 많고 주름이 많은 장과형 오이 |
다다기, 송풍오이 | 단과형 오이 |
백 다다기 오이 | 반백색의 단과형 오이로 하부가 엷은 녹색을 띈 오이 |
은성 다다기 | 가시가 검은색을 띈 다다기 오이 |
백침 다다기 | 가시가 흰색을 띈 오이 |
은침 다다기 | 가시가 은색을 띈 오이 |
입추반백 다다기 | 가을에 수확하면서 길이가 짧은 다다기 오이 |
장일반백 다다기 | 겨울에 재배되는 오이중에서 검푸른색 오이 |
취청 오이 | 가시가 많고 주름이 많은 장과형 오이 |
단 오이 | 가짧은오이 |
장 오이 | 긴 오이 |
조선 오이 | 육질이 단단하고 단백한 맛이 있는 노지오이 |
개량 오이 | 육질이 연한 하우스 오이 |
가을 오이 | 호남지방에서 주로 재배되는 노지억제재배 오이 |
겨울 오이 | 진주지방에서 주로 생산되는 하우스 오이 |
구루미 오이 | 가시오이와 다다기 오이의 교잡종으로 길이가 긴 녹색 오이 |
흑진주 오이 | 구루미 오이의 일종 |
남진 오이 | 남부지방에서 생산되는 오이 |
마가리 오이 | 형태가 구부러진 오이 |
출처: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
* 본 자료의 모든 권리는 해당 저작권자에게 있습니다. 저작물을 무단으로 게시하거나 판매, 대여 또는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시는 손해배상의 책임과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, 이에 대하여 김치박물관은 전혀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