농업전망
농업전망
농업전망 2013: 새로운 희망 새로운 선택
목 차
· 개회사(이동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)
· 격려사(서규용 농림수산식품부 장관)
· 축사(박진근 경제·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)
· 최근 우리 경제의 동향과 전망
· 1장 2013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
· 2장 쌀·콩 수급 동향과 전망
· 3장 국제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…
더 보기 ...
더 보기 ...
농업전망 2012: 도농상생을 위한 농업·농촌 가치의 재발견
목 차
· 개회사(이동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)
· 격려사(이상길 농림수산식품부 차관)
· 축사(박영근 경제·인문사회연구회 사무총장)
· 세계 경제위기와 한국경제 전망
· 농촌의 활성화와 귀농·귀촌
· 2012 농정시책
· 1장 2012년 농업·농촌 및 식품산업 전망
· 2장 FTA…
더 보기 ...
더 보기 ...
KREI 농업경제전망 (2011 하반기)
농업경제전망 결과, 2011년 농업생산액은 전년보다 6.5% 증가한 44조 3,960억 원으로 추산되었다. 재배업 중 특용 및 기타작물을 제외한 모든 부문에서 생산액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. 그 결과, 재배업 생산액은 2011년 26조 3,340억 원, 2021년 24조 8,560억 원으로 추정되어 장기적으로 다소감소할 것으로 판단된다. 2011년 축산업…
더 보기 ...
더 보기 ...
KREI 농업경제전망 (2011 상반기)
"KREI 농업경제전망"은 농업관계자 및 일반인이 한국농업경제를 이해하고 정부가 농업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최근 대내외 경제흐름과 한국농업동향을 정리·분석하여 발간한 자료이다.
제1장 국내외 거시경제
제2장 국제농산물 수급 동향과 전망
제3장 국내농업경제
제4장 농업부문 및 농가경제 전망…
더 보기 ...
더 보기 ...
농업전망 2011: 농업 · 농촌과 농식품산업: 새로운 시장과 기회
목 차
· 1장 2011년 농업 및 농가경제 전망
· 2장 쌀 가공식품산업 발전전략
· 3장 기능성식품산업의 기회와 과제
· 4장 가공식품의 수출 현황과 확대 전략
· 5장 우리 술의 현주소 및 세계화 전략
· 6장 소비자의 식품안전정보 이용실태와 시사점
· 7장 주요 가축전염병의…
더 보기 ...
더 보기 ...
KREI 농업경제전망 (2010 하반기)
"KREI 농업경제전망"은 농업관계자 및 일반인이 한국농업경제를 이해하고 정부가 농업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최근 대내외 경제흐름과 한국농업동향을 정리·분석하여 발간한 자료이다.
제1장 국내외 거시경제
제2장 국제농산물 수급전망
제3장 국내농업경제
제4장 농가경제 및 농가인구
제5장 주요…
더 보기 ...
더 보기 ...
농업전망 2010 : 녹색성장과 농업·농촌의 새로운 활로
목 차
· 개회사(오세익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)
· 격려사(장태평 농림수산식품부 장관)
· 축사(김세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)
· 한국 경제전망과 농업(김영용 한국경제연구원장)
· 녹색성장 전략(우기종 녹색성장위원회 이사장)
· 2010년 농정시책(최형규 농림수산식품부 실장)
· 1장…
더 보기 ...
더 보기 ...
농업전망 2009 : 한국 농업·농촌 도전과 새로운 희망
목 차
· 개회사(오세익 원장)
· 격려사(장태형 농림수산식품부 장관)
· 한국 경제전망과 농업(채욱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)
· 2009 농정방향(김재수 농림수산식품부)
· 1장 2009 농업 및 농가경제 전망
· 2장 DDA·FTA 협상 동향과 전망
·…
더 보기 ...
더 보기 ...
농업전망 2008 : 한국 농업·농촌, 새로운 도약을 위하여
목 차
· 개회사(최정섭 원장)
· 격려사(임상규 농림부 장관)
· 2008한국경제전망과농업(김종석 한국경제연구원장)
· 선진화를 지향하는 농정 전환 방향(성진근 충북대 명예교수)
· 1장 2008 농업 및 농가경제 전망
· 2장 국제 곡물가격 상승 전망과 파급영향
· 3장 FTA·DDA 추진…
더 보기 ...
더 보기 ...
농업전망대회 10년 : 1998 – 2007
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매년 개최하는 농업전망대회에서는 농업·농촌을 둘러싼 국내외 환경변화, 품목별 수급 전망, 예상되는 농정 이슈 등이 발표된다. 이를 통해 농업인과 유통업체, 정책담당자가 한 해의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.
외환위기로 인해 나라 전체가 암울하던 1998년 1월에 시작된…
더 보기 ...
더 보기 ...